top of page

Sponsored: Wearing Today

김형우 | Kim Hyeongwoo

Solo Exhibitions

2025.7.30 - 9.27

2025년 선정 신진작가 전시

​​

Sponsored: Wearing Today

김형우 | Kim Hyeongwoo

신화의 주체들이 돌아왔다.

그러나 그들은 더 이상 신화를 말하지 않는다.

오늘의 브랜드를 걸친 채, 기호의 옷을 입고 다시 태어난다.

그들의 귀환은 숭고의 회복이 아니라, 기호의 과잉에 대한 역설적 증언이다.

김형우는 고전 조각의 신체 위에 오늘의 소비 문화를 덧씌운다.

그는 '형상'이 가진 본래의 무게를,

'이미지'라는 가벼움으로 치환시킨다.

이 치환은 단순한 패러디가 아니라,

실재(the real)와 시뮬라크르(simulacrum) 사이의 경계를 묻는 미학적 실험이다.

이제 조각은 '존재'를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기호'를 재연하는 기계가 된다.

극사실(hyperreal)의 표면은 완벽에 가까운 재현을 통해 역설적으로 낯섦(unheimlich)을 유발한다.

그 낯섦은 현실을 닮은 이미지가 실재를 대체하고 있음을,

우리가 이미지에 의해 ‘존재’를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제 정체성은 더 이상 본질이 아니다.

푸코가 말했듯, 정체성은 주체화의 기술이고, 권력의 산물이다.

우리는 스스로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해, 끊임없이 이미지를 생산하고 소비한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오래된 명제는

'나는 보여진다, 고로 존재한다'는 비극적 역설로 바뀌었다.

《협찬: 오늘을 입다》는 고전의 신체가 오늘의 기호를 걸치는 장면을 통해 묻는다.

실재는 어디에 있는가?

정체성은 누가 규정하는가?

나는 지금, 누구의 시선에 의해 의미화 되고 있는가?

김형우의 작업은 우리로 하여금 바라보게 한다.

그것은 조각의 표면이 아니라,

그 표면을 통해 드러나는 오늘의 삶의 구조, 이미지의 정치학, 존재의 탈 신화다.

이 전시는 단지 형상을 전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이라는 시대를 입은 채 살아가는 우리 자신을 마주하게 한다.

 

NAS CONTEMPORARY GALLERY

 

 

 

 

 

 

Sponsored: Wearing Today

Kim Hyeongwoo

The mythHyeongwooical figures of the past have returned.

But they no longer speak of myths.

Clothed in today’s brands, they reappear not as symbols of transcendence, but as signs saturated with consumerist meaning.

Their return is not the revival of the sublime, but an ironic testimony to the excess of signs.

Kim Hyungwoo overlays the classical form with the symbols of contemporary consumer culture.

He substitutes the weight of ‘form’ with the lightness of ‘image.’

This substitution is not mere parody,

but an aesthetic inquiry into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 and the simulacrum.

Sculpture no longer represents ‘being’; it replicates the mechanisms of signs.

The hyperreal surface evokes a strange familiarity—the uncanny—by replicating reality with disconcerting precision.

 

Through this precision, we are forced to confront an unsettling truth

that images no longer reflect reality—they replace it.

Our perception of being is now mediated, filtered, and constructed through the logic of imagery.

In today’s world, identity is no longer essential.

As Michel Foucault suggests, identity is a technique of subjectification, a product of power.

We produce and consume images not merely to express ourselves, but to exist.

The old philosophical dictum “I think, therefore I am” has quietly shifted to a more tragic logic

“I am seen, therefore I am.”

Sponsored: Wearing Today presents classical figures adorned in contemporary signs, asking

 

Where is the real?

Who defines identity?

Through whose gaze am I being interpreted?

Kim Hyung woo’s sculptures compel us to look—not merely at the surface,

but through it, toward the deeper structure of contemporary life

the politics of imagery, the deconstruction of myth, and the commodification of presence.

This exhibition does not simply display forms.

It reflects back to us the image of ourselves—dressed in the fabric of our time.

 

NAS CONTEMPORARY GALLERY

 

 

 

 

 

 

 

 

 

 

 

 

 

 

 

 

 

김형우 Hyeongwoo Kim

개인전

2024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조소전공 졸업, 미술학사(B.F.A), 서울 개인전
2025 <협찬: 오늘을 입다>, NAS Contemporary Gallery, 서울
2025 <창고: 인간의 상품화>, 구 일본은행 히로시마지점, 히로시마, 일본
2023 <역사의 환영: 시대를 넘어 현대로>, 중앙대학교 Space 1984, 안성

단체전
2025 <한국현대작가미술전: 80.8+7展>,구 일본은행 히로시마지점, 히로시마, 일본
2025 <K-Sculpture 신진조각전>, 구띠갤러리, 서울
2025 <쥔 것과 놓인 것>,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 서울
2024 <The 26th China Harbin International Snow Sculpture Competition>, Sun Island(太陽島), 하얼빈, 중국
2024 <Breckenridge International Snow Sculpture Championships>, Riverwalk Center, 브레켄리지, 콜로라도주, 미국
2024 <제9회 親交: 멘토 멘티>, Gallery KOSA, 서울
2024 <조형아트서울>, 코엑스, 서울
2024 <눈부시게 찬란한>, Art Space HOSEO, 서울
2024 <이중에 하나>, 중앙대학교 Gallery 301, 서울
2024 <아트강릉24>, 강릉아트센터, 강릉
2024 <끝은 새로운 시작>, mM Artcenter, 평택
2024 <대한민국 미술축제 아시아프(ASYAAF)>, 옛 국립극단 백성희장민호극장, 서울
2024 <제38회 한국현대조각초대전>, 춘천MBC 호반광장, 춘천
2024 <제14회 대한민국 호국미술대전>, 전쟁기념관, 서울 외 5곳 순회전시(춘천, 파주, 부산, 순창, 계룡)
2024 <화합>, 김해시립김영원미술관, 김해
2024 <PLAS HOTEL ART SHOW>,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
2024 <문학의 향기와 조각의 만남>, 박인환문학관~기적의도서관 야외광장, 인제
2024 <제23회 고양국제아트페어>, 킨텍스, 고양
2023 <포름>, Gallery KOSA, 서울
2023 <제4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안산문화예술의전당, 안산
2023 <제30회 태백산 눈축제 전국 대학생 눈조각 전시>, 태백산국립공원, 태백

 

수상 및 선정
2024 <대한민국 대통령상>, 제14회 대한민국 호국미술대전 <대상>, 대한민국 육군본부
2024 제26회 중국 하얼빈 국제 눈조각 대회 <최우수창작상>, 하얼빈시 인민정부, 중국
2023 제4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조각분야 최고상>, (사)한국미술협회
2023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제30회 태백산 눈축제 전국 대학생 눈조각 경연대회 <대상>, 태백시 
2023 경기젊은작가(New Blood) <선정>, (재)경기문화재단

작품소장
(재)경기문화재단(경기미술창고), (재)경원재단(미술관), 대한민국 육군본부, (사)강원예총 외 다수 소장

나스컨템포러리갤러리_LOGO_5_edited.png

nas contemporary gallery

Tel

02-2138-0201

010.6336.8814

Email  nascontemporary@gmail.com

  • Instagram

nas contemporary gallery

© 2024 by now art space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